eps 2

[주식 공부_일곱번째 이야기] '주식투자 무작정 따라하기'

저평가 종목을 고르는 방법 → 자기자본 이익률(ROE) 높을 수록 좋은 회사이다. ROE가 높은 기업이라도 주가가 올라 PER이 지나치게 높다면 수익을 내기가 어렵다. → 주당순이익(EPS)과 주가수익비율(PER) PER이 낮으면 주가가 저평가, PER이 높으면 고평가 EPS는 1년 후 예상 EPS를 기준으로 판단하고, 2년 후 예상 EPS와 최근년도 실적에 의한 EPS를 동일 수준으로 참고한다. 전년대비 증감률도 중요하다. 특별 손익이 있을 경우 특별 손익을 제외하고 보아야 한다. PER은 동일업종의 평균치와 비교해 보고, 또 같은 업종 내 대표기업과 비교해 본다. PER의 수준이 같거나 그 차이가 미미하다면, PER의 연도별 추세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것이 좋다. PER 수준이 같은 기업일 경우에는 ..

[주식 공부_다섯번째 이야기] '주식투자 궁금증 300문 300답'

기본적 분석 EPS(주당 순이익)이 높은 주식 PER, PBR, PSR 이 낮은 주식 종목 PER과 시장 전체 PER을 같이 보는 것이 중요 (ex. 시장 전체 PER이 높은데 종목 PER이 낮다면 저 평가 된 주식) 기업의 재무재표를 볼 수 있는 것이 중요 (간단히 말하면, - 매출이 계속 증가 - 부채가 줄어드는 추세 - 순 이익이 증가 - 유보율 증가 등의 변화를 관찰)